
대화에 초점 맞춘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중요성 내담자가 상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우려면 상담자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이어지는 여러 장에서 이러한 기술들ㅡ관심 기울이기, 경청, 내담자가 자신에 대해 말하는 것에 대한 이해, 이를 토대로 한 내담자에 대한 반응, 내담자 문제의 충분한 탐색, 내담자가 초점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돕기,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 상황과 활용하지 않은 기회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개발하도록 자기 자신에게 도전하기를 개관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상담사와 내담자 간의 대화는 치료적이거나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화이어야 한다(Knapp, 2007; Paré & Lysack, 2004; Seikkula & Trimble, 2005). 대인 간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이..

문제의 맥락 검토 때로는 내담자가 가지고 온 문제의 배경이나 맥락을 탐색해 보면 명료화에 도움이 된다. 이는 경청에 체계 내의 인간(people-in-systems)이라는 접근방법을 적용한 것이다(Cony ne & Cook, 2004; Egan & Cowan, 197; Hutchison, 2003). 다음 사례를 살펴보자. 경영 능력 개발 세미나에서 T씨는 상담사에게 자신이 세계적인 자문회사의 동남아 지사에서 매니저로 일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이미 너무 많은 일을 떠맡고 있었는데, 새로 부임한 상사가 그에게 이러저러한 위원회에 들어가 일하기를 원한다고 하였다. 그렇게 하면 개인적인 소중한 시간을 훨씬 더 빼앗기게 될 게 뻔했다. 또한 그는 자기 부하 직원 중 한 사람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그..

내담자가 객관적인 그림을 그리게 한다 이야기를 일반적으로 말하거나 부분적으로만 말하거나 애매모호하게 말하는 내담자들에게는 이면의 동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나의 이야기를 분명하게 그리고 있는 그대로 다 털어놓는다면, 그다음에는 내가 무언가를 할 것이라고 기대하겠지."라는 숨은 이유를 가지고 있다. 책임이라는 동기가 이면에 있는 경우다. 또 하나는 이야기의 정확성이다. 어떤 내담자는 가능한 한 정직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는 반면에 어떤 내담자는 어떤 이유에서든 거짓말을 하거나 얼버무린다. 부부 상담을 해 본 상담사라면 이를 잘 이해할 것이다. 속이는 것은 자아상과 어떤 관련이 있는 것 같다. 어떤 내담자는 상담사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할지 그리 신경 쓰지 않는다. 상담사에게 호의적인 인상..

상담 모델의 그림자 측면 이해와 대처 이 책에서 제시하는 상담 틀은 합리적이고 직선적이며 체계적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그렇지 않은데 이러한 틀이 다 무슨 소용이냐고 질문할 수도 있겠다. 이에 대한 한 가지 답은 합리적인 틀은 내담자가 자신의 무질서한 삶에 필요한 절제와 질서를 부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문화적으로 유연한 틀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효과적인 상담사는 이러한 틀을 사용한다는 것에 대해 변명하지 않으며, 한편으로 자신의 인간적인 면모가 그 속에 배어나도록 한다. 1장에서 언급한 포괄적인 그림자 측면 이외에도 상담 모델을 사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그림자 측면은 많다. 다음은 그 몇 가지 예다. 모델의 부재 어떤 상담사들은 '즉흥적으로 상담한다. 그들에게는 내담자에게..

융통성과 단순한 무질서나 혼돈의 차이 상담에서 초점과 방향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상담을 융통성 있게 진행한다는 이유로 내담자가 문제 상황 속에서 헤매도록 내버려 두면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융통성을 발휘할 때도 어디까지나 모델을 근간으로 삼고 있어야 한다. 상담 모델의 구조는 상담이 제멋대로 일어나는 대로 방치되는 것을 막는 기본적인 체계라고 하겠다. 상담 모델은 마치 지도처럼 현재 어디에 와 있는지 그리고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지도의 은유를 사용해 볼 때 모델의 각 기와 과제는 방향을 찾는 도구다. 이 모델을 잘 사용하면 내담자가 상담 과정에 보다 잘 참여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물론 내담자도 자신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 필요가 있다. 최상의 방안 탐색 이 책은 문..

융통성 있는 모델 사용법 상담 모델은 융통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주요한 것은 상담이 무엇보다도 내담자를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내담자의 요구는 그 어떤 모델보다 앞선다. 내담자마다 상담의 출발점과 과정이 다를 수 있다. 상담 모델의 어떤 기나 어떤 과제도 상담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담자 A가 "휴가를 보내 주지 않으면 회사를 그만두겠다고 위협했더니 역효과가 생겼어요. 회사를 떠나려면 떠나라는 말을 들었거든요.” 하고 말한다면, 이 상담의 출발점은 실패한 전략이 될 것이다. 내담자 B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갖지 못한 데서부터 상담을 시작한다.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 줄 남자친구가 필요해요. 사귀고 있는 사람은 항상 자기 뜻대로 나를 바꾸려고 해요..

유능한 상담사 모델:상담의 문제대처 및 기회 개발적 접근 상담의 접근방식은 궁극적으로 내담자들이 문제에 대처하고 활용하지 못한 기회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책은 융통성 있고 인본주의적이며 포괄적인 문제대처 및 기회 개발 모델 혹은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제해결 접근(problem solving approaches)'에 대한 저술에서, 어떤 저자들은 이 용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Bedell & LENOX, 1997; Chang, D'Zurilla, & Sanna, 2004; D'Zurilla & Nezu, 1999, 2001;Elias & Tobias, 2002; Nezu, Nezu, Friedman, Addis, & Hots, 1998), 어떤 저자들은 이 과정을 활용..

문제 대처: 인간의 보편적 특성 이 책에서 소개하는 상담의 모델 또는 틀은 내담자가 문제 상황에 대처하고 기회를 탐색하고 개발하도록 돕는 데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사람들은 누구나 살아가면서 어려움을 겪는다. 또 누구나 '더 잘 살 수 있는' 기회를 놓쳐 버리거나 활용하지 않고 살아간다. 적어도 필자의 경험으로는, 문제대처 및 기회 개발적 접근이 가진 장점은 전 세계적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이다. 문제 대처는 매크로와 코스타(McCrae & Costa, 1997)가 말한 '인간의 보편적 특성' 또는 노렌자얀과 하이네 (Norenzayan & Heine, 2005)가 그들의 논문에서 언급한 '심리학적 보편성'인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수년 전에 탄자니아에서 대학생과 교수 300여 명에게 이 책에서 ..

능력 개발에 초점을 둔 가치 : 내담자의 책임 세계은행 총재인 로버트 조엘식(Robert Zoellick 새로운 21세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그는 21세기의 전반부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깊이 고민한 끝에, 반전의 시대(the Age of Reversal), 관용이 없는 시대(the Age of Intolerance), 하락의 시대(the Age of Decline) 등과 같은 말을 사용하기를 거부하였다. 대신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 연설에서 사용했던 책임의 시대라는 말을 쓰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렇다, 우리는 할 수 있다."고 외쳤다. 내담자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은 내담자가 옳은 일을 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담의 두 번째..

상담의 토대를 이루는 가치: 존중 내담자에 대한 존중은 상담사의 모든 행동의 토대를 이룬다. 다른 많은 개념과 마찬가지로, 존중 또한 정의하기가 쉽지 않은 개념이다. 이 말은 '보다 (seeing 또는 viewing)'라는 의미의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사실 존중이란 자신이나 상대방을 바라보는 특정 방법을 가리킨다. 그러나 존중이 상담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려면, 단순히 상대방을 바라보는 태도나 방법에 그쳐서는 안 된다. 이상적으로 말하자면, 상담사와 내담자는 '서로에게 중요한 존재여야 한다는 것이다(Rale, 2006).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고 또 존중에 가치를 부여한다면 내담자를 대할 때 지켜야 할 규범이 있다. 이러한 규범들은 다음과 같다. 해를 입히지 않는다는 이것은 의사들..
- Total
- Today
- Yesterday
- 세금
- 사업자
- 무료중계
- 사업자세금
- 나훈아콘서트예매
- 종합소득세신고
- 장려금
- 종소세신고
- 프리랜서
- 종합소득세
- 해외농구
- 종소세
- 해외축구
- 청년정책
- 무료스포츠
- 해외야구
- 청년
- 프리랜서세금
- 나훈아콘서트
- 예매
- 나훈아
- 벚꽃축제
- 스포츠중계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무료스포츠중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